|
|
|
|
|
제목 |
진구나환자의 피부병리조직학적 고찰 |
|
|
|
|
저자 |
김홍식 |
소속 |
서울대학교(大學校) 의과대학(大學) 부속병원(附屬病院) 피부과(皮膚科) |
|
|
년도 |
1963 |
권 |
2 |
|
|
호 |
1 |
번호 |
|
|
|
시작페이지 |
71 |
끝페이지 |
75 |
|
|
첨부 |
|
|
|
요약 |
평균(平均) 11년(年) 5개월(個月)의 리환년한(罹患年限)을 가진 나환자(癩患者) 360명(名)에 대(對)한 진구성(陳舊性) 나성(癩性) 피부병소(皮膚病巢)의 병리조(病理組) 직학적(織學的) 및 면역학적(免疫學的) 관찰(觀察)을 하여 다음의 결논(結論)을 얻었다. 1. L-type의 조직소견(組織所見)으로 lepra cell(foamystructore)이 커지고 침윤(浸潤)은 한선제주변(汗腺際周邊)에 국한(局限) 호발(好發)하는 경향(傾向)이 많다. free sone은 대부분(大部分) 증예(症例)에서 소실(消失)된다. 2. T-type의 tuberculoid structure는 불명료(不明瞭) 해지는 경향(傾向)을 보인다. 3. 치유나기환자(治癒癩期患者)의 조직소견(組織所見)은 나성침윤(癩性浸潤)이 지극(至極)히 경징(輕徵)하고 거의 정상상(正常像)에 가까운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세포침윤(細胞浸潤)은 한선(汗線)과 혈관주변(血管周邊)에 호발(好發)한다. |
|
|
내용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