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학회간행물 > 용어사전
제목 외래를 통한 신환자 발견사업
저자 전인기 소속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년도 1995 28
1 번호
시작페이지 51 끝페이지 56
첨부
요약 나병(癩病)은 항산균(抗酸菌)의 일종(一種)인 나균(癩菌)(Mycobacterium leprae)에 의(依)하여 발생(發生)하는 만성전염성(慢性傳染性) 질환(疾患)
으로 질병사상(疾病史上) 가장 오랜 역사(歷史)를 자랑하는 질환중(疾患中)의 하나이다. 나균(癩菌)은 숙주(宿主) 특리성(特異性)이어서
다만 인간(人間)에게만 자연적(自然的)으로 증식(增殖)되고 인간(人間) 아닌 다른 동물(動物)에서는 중간(中間) 숙주(宿主)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었으나 근내(近來)에는 Naterally caquired Leprosy가 Armadillo, Chimpanzee, Mangaby
monkey 등(等)에서 보고(報告)됨으로서 나병(癩病)은 이제 인간(人間)에게만 발생(發生)하는 질환(疾患)이 아닌 인수전염병(人獸傳染病)
(Zoonosis)의 꼬리표를 달게 되었다. 지난날 우리나라는 세계적(世界的)으로도 비교적(比較的) 나병(癩病)의 유병률(有病率)
이 높은 지역(地域)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외원(外援)(종교(宗敎))구나단체(救癩團體)들의 헌신적(獻身的)인 나사업(癩事業) 지원(支援) 항나제(抗癩劑)의
발달(發達), 그리고 국가경제(國家經濟)의 발전(發展) 및 정부(政府)의 지속적(持續的)이며 효과적(效果的)인 나병관리(癩病管理) 등(等)에 힘입어 근래(近來)
에 들어서는 현저(顯著)한 감소(減少) 추세(趨勢)에 있다. 본(本) 교실(敎室)에서는 지난 1969년(年)부터 우리나라의 나환자(癩患者)
발생(發生) 현황(現況)을 알아보기 위해서 년도순(年度順)로 신환자(新患者)의 발생수(發生數), 발생년령(發生年齡), 그리고 병형(病形) 등(等)에 관(關)하
여 림상적(臨床的)인 관찰(觀察)를 해 왔던 바 근내(近來)에 들어서는 급격(急激)한 신환자(新患者) 발생(發生)의 감소(減少)로 우리나라의
나사업(癩事業)은 거의 마무리 단계(段階)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신환자수(新患者數)는 날로 감소(減少)되
어 가고 있으나 많은 소외(疎外)되어 있는 나병력자(癩病歷者)들의 장애(障碍)로 인한 재활문제(再活問題)가 앞으로의 당면(當面)
과제(課題)이며, 그리고 그동안 우리들이 이룩한 우리나라의 나관리(癩管理) 사업(事業)이 훌릉한 하나의 경험적(經驗的)
인 model이 되어 우리보다 후진국(後進國) 등(等)의 나병(癩病) 근절사업(根絶事業)에 우리들의 기술(技術)과 인력(人力)를 지원(支援)하여
세계(世界)의 나병퇴치(癩病退治)에 동참(同參)하는 것이 세계(世界)속의 한국(韓國)이 해야 할 앞으로의 과제(課題)라고 생각된다.
내용